카테고리 없음

근로 노동관계법 지식사전 - 청년고용촉진 특별법 -

법문북스 2021. 9. 27. 09:55

청년고용촉진 특별법

 

1(목적)

이 법은 청년 미취업자에 대한 국내외 직업능력개발훈련 등의 지원을 통하여 청년고용을 촉진하고

지속적인 경제발전과 사회안정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2(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청년"이란 취업을 원하는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나이에 해당하는 사람을 말한다.

2. "중소기업체"중소기업기본법2조에 따른 중소기업을 말한다.

 

3(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책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청년고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인력수급 전망, 청년 미취업자 실태 조사, 직업 지도, 취업 알선 및 직업능력개발훈련 등을 포함한 대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하고 청년 미취업자의 고용이 촉진될 수 있는 사회적경제적 환경을 마련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기업과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법따른 지방공기업(이하 "기업등"이라 한다)은 청년고용을 촉진하기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책에 적극 협조하여야 한다.

 

중등교육법고등교육법에 따른 각급 학교(이하 "대학등"이라 한다)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인력의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직업 지도 및 직업현장 체험 기회 제공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4(청년고용촉진특별위원회 설치 등)

청년고용촉진에 관한 주요 사항을 심의가하기 위하여 고용노동부에 청년고용촉진별위원회(이하 "특별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특별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한다.

1. 3조제1항에 따른 대책의 수립시행에 관한 사항

2. 청년고용촉진을 위한 산관 협력에 관한 사항

3. 5조제1항에 따른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의 청년

미취업자 채용실적에 관한 사항

4. 그 밖에 청년 미취업자의 고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

 

특별위원회의 설치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더 많은 근로 노동관계법에 알고 싶으시다면 
법문북스의 용어해설과 법령을 같이 보는근로 노동관계법 지식사전
근로기준법, 산재관련법, 노동법 등 개정된 법률ㆍ용어와 판례수록 
을 클릭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