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세금 해결법 / 상속세는 누가 납부하나요?

법문북스 2021. 6. 10. 09:36

1. 납부의무자

상속세란 사망으로 그 재산이 가족이나 친족 등에게 무상으로

이전되는 경우에 당해 상속재산에 대하여 부과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상속세 납세의무가 있는 상속인 등은 신고서를 작성하여

신고기한까지 상속세를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구체적으로 상속세 신고·납부의무가 있는 납세의무자에는

상속을 원인으로 재산을 물려받는 상속인과 유언이나

증여계약 후 증여자의 사망으로재산을 취득하는 수유자가 있습니다.

 

상속인이란 혈족인 법정상속인과 대습상속인, 망인의 배우자 등을 말하며,

납세의무가 있는 상속포기자, 특별연고자도 포함됩니다.

 

민법에서는 상속이 개시되면 유언 등에 의한 지정상속분을 제외하고

사망자(피상속인)의 유산은 그의 직계비속·직계존속·형제자매·4촌 이내의

방계혈족 및 배우자에게 상속권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특별연고자나 수유자가 영리법인인 경우에는 당해 영리법인이 납부할 상속세는 면제됩니다.

다만, 201411일 이후 상속개시분부터는 그 영리법인의 주주 또는 출자자 중

상속인과 그 직계비속이 있는 경우에는 지분상당액을 그 상속인 및 직계비속이 납부하여야 합니다.

 

피상속인이 거주자이면 국내·외 모든 상속재산에 대하여,

피상속인이 비거주자이면 국내에 있는 재산에 대하여만 상속세가 부과됩니다.

 

거주자라 함은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년 이상 거소를 둔 자로서 가족 및

자산의 유무 등으로 보아 생활근거가 국내에 있는 것으로 보는 개인을 말합니다.

 

2. 상속세 연대납부 책임

상속인이나 수유자는 세법에 의하여 부과된 상속세에 대하여 각자가 받았거나

받을 재산(=상속으로 얻은 자산총액-부채총액-상속세)을 한도로 연대하여 납부할 의무가 있습니다.

 

각자가 받았거나 받을 재산에는 상속재산에 가산하는 증여재산이나

추정상속재산 중 상속인이나 수유자의 지분 상당액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상속세 납세의무자 중 일부가 상속세를 납부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다른 상속세 납세의무자들이 미납된 상속세에 대하여 자기가 받았거나

받을 재산을 한도로 연대 납부할 책임이 있습니다.

 

3. 상속의 순위

같은 순위의 상속인이 여러 명인 때에는 피상속인과 촌수가 가까운 자가 먼저 상속인이 되고,

촌수가 같은 상속인이 여러 명인 경우에는 공동 상속됩니다.

 

태아는 상속순위를 결정할 때는 이미 출생한 것으로 봅니다.

 

배우자는 직계비속과 같은 순위로 공동상속인이 되며,

직계비속이 없는 경우에는 2순위인 직계존속과 공동상속인이 됩니다.

직계비속과 직계존속이 없는 경우에는 단독 상속인이 됩니다(민법 제1003).

 

상속인이 될 직계비속 또는 형제자매가 상속개시 전에 사망하거나 결격자가 된 경우에

그 직계비속이 있는 때에는 그 직계비속이 사망하거나 결격된 자의 순위에 갈음하여 상속인이 됩니다(민법 제1001).

 

4. 상속세 신고·납부기한

상속세 납부의무가 있는 자는 상속세 신고서를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6월 이내에 관할세무서에 제출해야 합니다.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6월이 되는 날이 공휴일·토요일·근로자의 날에 해당되면

그 공휴일 등의 다음날까지 신고·납부하면 됩니다.

 

피상속인이나 상속인 전원이 비거주자인 경우에는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9월 이내에 신고·납부하면 됩니다.

 

납부하여야 할 상속세는 자진납부서를 작성하여 위의 신고기한 이내에

가까운 은행(국고수납대리점)이나 우체국에 납부하면 됩니다.

 

5. 신고서 작성절차

신고서는 아래 순서대로 작성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1. 상속개시전 1(2)년 이내 재산처분·채무부담 내역 및 사용처 소명 명세서

2. 상속인별 상속재산 및 평가명세서

3. 채무·공과금·장례비용 및 상속공제 명세서

4. 상속세과세가액계산명세서

5. 상속세 과세표준 신고 및 자진납부계산서

 

최종적으로 납부서를 작성합니다.

 


 

더 많은 세금 해결법을 알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세금 해결법 종합소득세,양도소득세,종합부동산세,부가가치세,상속세,증여세 등>을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