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자의 선택
이름을 지을 때 이름자에는 좋은 뜻이 담겨져 있어야 하지만
먼저 성과 이름은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어야 좋은 이름이 된다.
그리고 간명하고 투철한 의의를 표현하면서 기품(氣品)이 있고
듣기에 명랑하고 친근감을 주는 알기 쉬운 상용한자(常用漢子) 중에서 고르는데
읽기가 쉽고 부르기, 듣기, 쓰기, 외우기가 모두 좋아야 하며
특히 다음과 같은 사항에 대해서는 유의를 하고 피하는 것이 좋다.
· 글자의 획수가 번거롭고 잘 통용(通用)되지 않는 어려운 문자
· 글자의 뜻이 불합리하거나 불길함을 연상케 하여 꺼리는 문자
· 부르기가 거북하고 듣는 이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자
· 성과 이름자가 동일하거나 같은 음으로 발성되는 문자
· 남녀의 구별이 불분명한 문자
· 신(神), 불(佛) 등 신앙의 대상이 되는 문자
· 병약(病弱), 사멸(死滅), 비천성(卑賤性) 등을 내포하거나 혐오감을 주는 문자
· 짐승(獸), 물고기(魚), 벌레(蟲), 기구(器具), 물건 등의
명칭이 되는 문자 등등은 꼭 피하는 것이 좋다.
이름자의 형체(形體)
이름자에는 강(强) · 약(弱) · 허(虛) · 실(實)의 네 가지 형체가 있는데
이는 신체의 건강 여부와 행동, 태도, 품성 등을 각각 암시하고 있다.
그래서 글자의 모양도 균형을 이루고 조화있게 순응하는 형체를 고르는 것이 좋다.
글자의 모양이 균형을 잃게 되면 심리상으로 불안정하고
현실 상황에서 평형을 상실하여 성질이 조급하고 신경질적이며
대인관계에서 화합을 못 이루고 배척을 당하여
자기의 이상(理想)을 펴보지도 못하고 실패, 좌절하는 암시가 있다.
(1) 강(强)한 형체의 문자
성질히 강직하고 과단성이 있으며
행동에 활발성을 지니고 있다고 암시를 한다.
(2) 약(弱)한 형체의 문자
성질이 너그럽고 바르기는 하나 생각이 엷으며,
또한 몸도 홀쭉하여 어딘가 신체에 허약성을 나타내는 암시가 있다.
(3) 허(虛)한 형체의 문자
담력이 없고 매사에 우유부단하며 소극적이다.
대중과 대적을 못하는 허약성을 내포하는 암시를 한다.
(4) 실(實)한 형체의 문자
의지가 굳건하고 충만되어 만난을 타파하는 저력을 지니고
건실한 지구성(持久性)을 견지하는 암시가 있다.
더 많은 정보를 알고 싶다면
아래 <내 아이의 행복을 위한 이름짓기>를 클릭하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톨스토이의 황금률 [인내, 성장] (0) | 2022.11.24 |
---|---|
내 첫인상은? (0) | 2022.11.07 |
속담에 이런 뜻이? 속담풀이 (0) | 2022.10.26 |
1인 가구에는 어떤 복지가 지원되나요? <사회복지제도의 정보와 실제> (0) | 2022.10.06 |
슬기로운 현대 생활 <마음을 다스리는 지혜> (2) | 2022.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