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는 숩많은 한자를 어떻게 체계
적으로 분류,배열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에는 만들어졌습니다. 중국
후한의 학자 허신은 [설문해자]라
는 최초의 한자자전을 편찬하면서
당시 통용되던 한자 9,353자의
자형 구조를 체계적으로 분석
하여 540부로 분류하고 각 부류
별 대표적 상징 역할을 하는 한
자를 부수로 삼았습니다.
부수를 알게 되면, 모르는 한자
라도 그 글자의 대략적인 의미
를 알 수 있으며 자전에서 한자를
쉽게 찾아볼 수도 있습니다. 또
아무리 획수가 많은 복잡한 한
자라도 부수를 바탕으로 한자구
조를 파악해 한자를 외우지 않
고 원리를 생각하면서 쓰고 익
히게 됩니다.
이렇게 한자를 원리적으로
공부하게 되면, 한번 익힌 한자
는 정확하게 기억할 수 있어 잊
어버리지 않게 되므로 한자 공부
에 흥미를 잃지 않게 됩니다.
아래는 부수를 쉽게 익힐 수 있
는 방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오늘은 한자의 부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부수는 한자
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꼭 알아야
하는 것으로, 부수를 알면 한자
를 더욱 쉽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쉽게 한자 부수 익히는
방법은 아래 책을 참고해주세요~
'서예,한문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천상정기가>를 통해 서예 서체를 배우고 충신의 기개도 느껴봅시다.(문천상,정기가,서예,서체,캘리그라피,충신,절개) (0) | 2020.06.19 |
---|---|
서예 붓을 잡는 방법/주자 사시독서락 배워봅시다(붓,서예,캘리그라피,붓잡는법,주자,사시독서락) (0) | 2020.06.18 |
정석으로 사군자 그리는 방법을 배워봅시다.(정석,사군자,묘법,매화,국화,난초,대나무,사대부,선비,서예) (0) | 2020.06.16 |
정석 한글서예,한글서예의 기초 기본을 배웁시다(정석,한글,한글서예,서예,한자,한문,캘리그라피,한석봉,리동규) (0) | 2020.06.15 |
천자문을 7가지 서체로 배웁시다~ (명필,칠체,천자문,서예,한문,한자,캘리그라피) (0) | 2020.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