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의 발달속도
가 그 어느때보다 빠르게 진행되
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범죄 역시 하루가 다르게 지능화,
조직화되고 있고 새로운 범죄유
형도 등장하여 형법 역시 현실의
요구에 부응해야 하는 과제를
떠안게 되었습니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지능화된 범죄에는 사이버범죄
가 있습니다. 우리가 늘상 이용
하는 것이 인터넷인만큼, 범죄에
이용하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인들은 항상
사이버범죄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오늘은 사이버범죄 중에서
도 해킹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
니다. 각종 사이트,어플에 가입
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를 입력
해야 하기 때문에, 해킹을 당할
시 큰 피해를 볼 수가 있습니다.
해킹이란 일반적으로 다른 사
람의 컴퓨터 시스템에 무단 침입
하여 정보를 빼내거나 프로그램을
파괴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그 정도에 따라 단순침입,사용자
도용,자료유출,자료훼손,폭탄메
일,DDOS공격 등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해킹으로 피해를 봤을
경우 법적으로 어떤 보호를 받을
수 있을까요? 우리는 보통 해킹
을 당하면 무조건 피해보상을 받
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판례를 보면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법원은 <오픈마켓 사이트 개인정
유출 사건>에서 정보통신서비스가
'개방성'을 특징하로 한다는 점을
들면서, 불가피하게 해커의 표적
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인정했
습니다. 그리고 기술적으로 완벽
한 보안을 갖춘다는 것도 기대하
기 쉽다는 점도 명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사이트 책임자에게
무조건적인 보안부실의 책임이
지워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해커는 처벌을
받겠으나, 피해자 입장에서는 해
킹의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을 사이
트측에 청구할 여지가 적어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법원은 사이트측에는 당
시 사회통념상 합리적으로 기대
가능한 정도의 보호조치를 하였
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하여
야 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결국
피해를 보지 않으려면, 인터넷
사용자의 철저한 보안의식이 필
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더 자세한 사이버범죄의 유형과
대처방법,판례,Q&A를 보고 싶으
시면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 아래 클릭 ▼▼▼▼▼▼▼▼▼
'법률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정증언 준비와 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증언,법정증언,재판,소송,증인) (0) | 2020.07.07 |
---|---|
각종 계약 서식을 한번에 모아보세요.(계약,계약법,서식,계약서,민법,상법,임대차계약,양도계약) (0) | 2020.07.06 |
환경법의 체계는 어떻게 되어 있을까?(환경,환경법,대기오염,오염,환경문제,미세먼지,황사,코로나) (0) | 2020.07.02 |
내 돈을 지키는 공탁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공탁,공탁신청,민사소송,소송,민법,상법) (0) | 2020.07.01 |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면 긴급복지지원으로 도움 받으세요.(사회복지,긴급복지,지원,복지,재난지원,생계지원,의료지원) (0) | 2020.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