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사의 사전적 의미는 '민간에서
사사로 지은 역사'로 되어있습니다.
정사가 정부의 전담기구에서 사실
을 연대기적으로 기술하여 편찬
한 공식 기록인 데 비하여, 야사는
역사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 민간
인의 자격으로 기록한 것이라는
해석입니다.
그렇다면 야사는 엄밀한 의미의
역사로서는 가치가 없는 한낱
옛 이야기에 불과하냐 하면 천만
의 말씀입니다. 정사는 시대 상황
의 주체인 자, 승리한 자의 기록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 흐름이나 내용이 주관적이고
자기 본위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역사기록의 책임을 맡은 사관
들은 임금으로부터도 독립적
이고 객관적인 지위를 보장받았
다고는 하나,그들 역시 그 시대
의 주체인 승리 집단의 일원이며
무오사화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붓대를 잘못 놀린 죄로 목숨을
잃기도 했던 것을 보면 아무래
도 붓끝이 무뎌지지 않을 수 없
었을 것입니다.
거기에 비해 야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여줍니다.
첫째, 대체로 후세의 기록자에
의해 씌여지고 공식화되지 않는
만큼 자유롭고 객관적인 기술방식
을 유지하며, 문제발생을 우려하여
필자의 이름이 감춰진 경우도 있
습니다.
둘째, 한 시대의 일괄적 연속적
기록이기보다는 집필자 자신이
특별한 관심이나 흥미를 가진 어떤
사건 또는 시대상황을 집중 기록
함으로써 단편적인 성격을 띕니다.
셋째, 의미 전달의 극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 다소 과장되기도 합
니다.
넷째, 문자에 의해 기록뿐 아니라
구전되는 이야기도 포함됩니다.
이와 같은 특성들을 감안하여
생각하면, 야사는 총체적 기준의
역사로서는 다소 미흡할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야사는 정사에서는 기대
하기 어려운 독특한 매력을 지니
고 있습니다.
정사가 뼈라면 야사는 살이라고
해도 무방할 것입니다. 따라서 야
사를 읽는 것은 단순히 책 읽는
재미를 취한다는 의미를 넘어
역사 이해의 한 방법으로 차원
을 높여 생각할 일입니다.
오늘은 야담과 야사의 차이점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야사
는 우리에게 더 많은 역사적인
숨겨진 이야기를 알려주는데요.
조선시대 야담과 야사를 통해
역사적인 견문을 넓히고 싶으
신 분은 아래 책을 참고해주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사기는 어떤 배경으로 만들어졌을까? (삼국사기,삼국유사,김부식,고려,역사,기록) (0) | 2020.08.11 |
---|---|
매천야록을 기록한 매천 황현은 누구일까요? (총람,매천야록,매천,황현,근대사,근현대사) (0) | 2020.08.10 |
중국 2000년의 처세술 비법이 담긴 '십팔사략' (처세술,십팔사략,인간경영,경영,전략,중국고전) (0) | 2020.08.04 |
애견을 잘 키우고 싶은 분들만 보세요 (애견,짝짓기,강아지,개,애완동물) (0) | 2020.07.29 |
한국의 핵심 속담, 속담의 특징과 활용에 대해 알아봅시다. (속담,민담,전통,문화,인문,언어학,한문학) (0) | 2020.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