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는 1145년(인종 23년)경에
김부식 등이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삼국시대의 정사입니다.
기전체의 역사서로서 본기 28권(고
구려 10권,백제 6권,신라 12권), 지(志)
9권, 표 3권, 열전 10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174년(명종 4년) 고려 사신이
삼국사기를 송나라에 보냈다는
기록이 옥해에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초간본이 이미 12세기 중엽
(1149~1174)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으나, 이 판본은 현존하지는
않습니다.
2차 판각은 13세기 후기로
추정되며, 성암본으로 알려진
이 책은 잔존본이기는 하나 현존
하는 삼국사기 가운데 가장 오래
된 것입니다. 일본 궁내청에도 소
장되어 있습니다.
3차 판각은 1394년(태조 3년)
에 있었습니다. 이는 김거두가 쓴
발문에 의한 것으로 일실되었
습니다. 4차 판각은 1512년(중종 7년)
에 있었는데, 이는 이계복의 발문으
로 확인됩니다. 정덕본으로 통칭되
고 있습니다.
이 목판으로 간행된 것은 여러
종이 전해지고 있으나, 완질본으
로는 이병익과 옥산서원에서 소장
하고 있습니다. 1669년(현종 10년)에
증수,간행된 동경잡기에 따르면
이 목판은 이 당시 사용할 수 없었
다고 합니다.
조선시대 마지막으로 간행된
것은 현종실록자로 간행한 것으
로, 내사기에 의하면 1760년(영조
36년)경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며,
러시아과학원 동방연구소 상트페테
르부르그지부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그 밖에도 성종실록과 국조보
감 등에 삼국의 역사가 전해지지
않는 일이 없도록 인출,반포할
것을 주청하여 윤허를 받은 기록이
나타나나,전본이 없어 그 실시여
부는 알 수 없습니다.
삼국사기는 인종의 명에 따라
김부식의 주도로 김부식 외 10인
의 편사관에 의해 편찬되었습니다.
이들은 대개 김부식과 개인적으로
가까운 인물이었으며,어느 정도 독
자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했
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은 거의 내시,간관출신이었
으므로 이들의 현실비판 자세가
삼국사기 편찬에 반영되었으리라
생각됩니다. 삼국사기는 편찬자들이
독자적으로 서술한 것이 아니라, 여러
중국 문헌을 참고하여 재구성한
것입니다.
국사편찬은 왕권강화의 기념적
사업인 동시에 당시의 정치문화
수준을 반영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삼국사기의 편찬도 이 책이 만들어
진 12세기 전반의 정치상황 위에서
이해되어야 합니다.
오늘은 삼국사기에 대해 알아
보았는데요. 삼국사기가 어떤
과정에 의해 만들어졌고, 그 의
의가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학교 필수
서적일만큼 우리나라의 역사를
아는 데에 중요한데요. 더 자세한
책의 내용을 알고 싶으시면 아래를
클릭해주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소화 고금소총> (속담,민담,고금소총) (0) | 2020.08.18 |
---|---|
삼국유사는 삼국사기와 무엇이 다를까요?(삼국유사,일연,삼국사기,역사) (0) | 2020.08.12 |
매천야록을 기록한 매천 황현은 누구일까요? (총람,매천야록,매천,황현,근대사,근현대사) (0) | 2020.08.10 |
야담과 야사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봅시다(야담,야사,조선,조선시대,이조,역사) (0) | 2020.08.05 |
중국 2000년의 처세술 비법이 담긴 '십팔사략' (처세술,십팔사략,인간경영,경영,전략,중국고전) (0) | 2020.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