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조선시대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소화 고금소총> (속담,민담,고금소총)

법문북스 2020. 8. 18. 09:41

고금소총이란, 민간에서 전해져 내려

오는 소화(작은 이야기)를 모아놓은

책으로 한국 토속문화의 백미입니다.

고금소총의 편자는 알 수 없습니다.

그리고 편찬 연대는 조선시대 후기

인 18~19세기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고금소총 육담이란, '태평한화골계

전', '어면순', '속어면순', '촌담해이',

'명엽지계', '파수록', '어수신화', '진담

록', '성수패널', '기문', '교수잡사' 등

11종류의 소화집이 한데 묶여있습

니다. 그 안에는 총 789편의 이야

기가 실려 있는데 이 중 약 3분의 1

가량이 육담에 해당합니다.

 

 

 

 

어면순,속어면순,촌담해이,기문

등은 거의 육담으로 채워져있고,

어수신화,진담록,성수패설,교수잡

사에서는 육담이 전체의 3분의1

내지 2정도를 차지합니다. 반면

태평한화골계전,파수록,명엽지해

에는 육담이 거의 실려있지 않습

니다.

 

 

 

고금소총은 유교가 지배하던

조선시대 사람들의 탐욕과 어리

석음,추악함을 적나라하게 그리고

있습니다. 위로는 왕후장상으로부

터 학자,벼슬아치,양반,중인,무당,판수,

승려,기생,노비에 이르기까지 각양각

색의 인물들이 등장해 인간 희극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남녀의 육담은 그 양이나

질에 있어서 우리나라 어느 문헌

보다 풍부하고 노골적으로 그려

져 있습니다. 고금소총이 조선시대

사람들의 성의식에 대한 노다지

광구인 것입니다. 

 

 

 

 

책의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열녀는 절개를 지킨다 … 14
웃음 짓는 집안, 한숨짓는 집안 … 18
까막눈 … 20
완악한 종의 행패 … 23
움켜쥔 단추 … 27
자리 바뀐 양근과 코끝 … 30
금주발 뚜껑 … 32
스님과 맺은 인연 … 35
까막눈 뱃사공 … 40
여종에게 속은 주지 … 43
홍어 … 49
송사를 해결하는 여우 … 51
순진한 선비 … 55

 

 

 

 

 

칼 그림자 … 58
벽력과 간통한 아내 … 61
붙잡혀가는 국사범 … 63
개밥그릇 … 66
부부지간은 몇 촌? … 69
돌아온 산삼 … 73
빌려준 씨앗 돌려주오 … 77
명주 고름 … 81
포목점 왕집사 … 84
엄마는 뭘 모르시네! … 87
가난한 집 며느리의 지혜 … 91
세 며느리의 축수를 받다 … 94
개도 풀무질하네! … 96
기세 등등 구월이 … 98
떡 먹은 건 못 속여 … 102

(일부 발췌)

 

 

 

더 자세한 고금소총에 대한

내용은 아래 책을 참고해주세요^^

 

 

 

▼▼▼▼▼▼▼▼▼아래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