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상식

각종 계약서,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요? (계약서 작성방법,계약서,증여계약서,매매계약서,임대차계약서,양도계약서)

법문북스 2019. 12. 20. 10:58


사법상의 일정한 법률효과의 발생을

목적으로 하는 두 사람 이상의 당사자

의 의사표시의 합치, 즉 합의에 의하여

성립하는 법률행위를 '계약'이라고

합니다. 그 중 채권의 발생을 목적으로

하는 합의인 '채권계약'을 좁은 의미의

계약이라고 합니다.


















민법이 규정하고 있는 채권계약은

증여,매매,교환,소비대차,사용대차,

임대차,고용,도급,여행,현상광고,

위임,임치,조합,종신정기금,화해

등 15종이 있습니다.


















계약은 구두로도 성립될 수 있지만,

요식계약이 아니더라도 계약을 함에

있어 증서를 작성하는 것은 여러 면

에서 중요한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증서를 작성해 두면 내용이 분명하여 

분쟁이 일어날 소지가 적어지고,

나중에 주장의 근거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공정증서로 계약을

체결해 놓으면 후일 상대방이 계약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법원의 판결 없이

공정증서를 근거로 강제집행을 할 수

있습니다.


















계약증서 작성 시에는 다음의 사항

을 유의해야 합니다.


- 계약서 제목은 기재해 두면 보다 유익합니다.

- 계약당사자의 주소, 성명을 기재하고 매수인,매도인 등의 계약자의 지위를 기재해야 합니다.

- 계약서내용을 후일에 분쟁을 피하기 위해 상세히 기재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내용에 대해서만 핵심을 명확하게 기재하는 것이 보다 실용적입니다.

- 계약증서는 각자가 나누어 가져야 합니다.

(나머지 생략)















특히 계약할 때 공정증서로 작성

하는 것이 좋은데요,


공정증서는 공증인이 공증인법이나

기타 법령의 정하는 바에 따라 계약 등의

법률행위나 사건에 관한 사실에 대하여

작성한 증서를 말합니다.


공정증서의 효과는 공정증서의 원본

을 공증인이 보관하므로 시비분쟁의

우려고 없다는 것이고, 필요한 경우

공정증서를 근거로 강제집행도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각종 계약서의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증여계약서>















<부동산임대차계약서>
















<토지매매계약서>


















<화해계약서>























오늘은 각종 계약서를 어떻게 작성

해야 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계약서

의 정의와 공정증서의 효력, 각종

계약서 예시까지 살펴보았는데요.


계약 시 계약서 작성은 후일의

손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만

큼, 더 자세한 내용을 필요로 하는

분은 아래 책을 클릭해주세요^^








- 계약 총설

- 계약의 종류와 체결

- 각종 계약서 예시

- 관련 법령 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