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상식

임금의 산정에 대하여

법문북스 2024. 5. 30. 11:08

 

1. 임금이란?

사용자가 근로의 대가로 근로자에게 임금, 봉급, 그 밖에 어떤 명칭으로든지 지급하는 모든 금품을 말합니다.

 

1-1.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지급할 것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근로자는 종속적인 관계에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고 임금을 지급받습니다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지급한 임금이 아니라고 본 사례에 해당하는 경우

카지노 영업장의 고객이 자의(自意)에 의하여 직접 카지노 영업직 사원들에게 지급한 봉사료를 근로자들이 자율적으로 분배한 경우, 위 분배금은 근로기준법이 정한 임금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학교의 학부형이 조직한 육성회에서 매달 근로자에게 금원을 지급한 일이 있다 할지라도 위 육성회는 사용자의 지배하에 있는 단체라고 볼 수 없으므로 여기서 지급하는 것은 사용자가 지급하는 노동의 대가인 임금이 아닙니다

의료보험료 중 사용자 부담분은 근로자가 근로의 대상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지급받는 임금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습니다

 

1-2. ‘근로의 대가’로 지급할 것

 임금은 근로자의 근로의 대가로 지급되는 것이어야 하며, 어떤 금품이 근로의 대상으로 지급된 것이냐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금품지급의무의 발생이 근로제공과 직접적으로 관련되거나 그것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어야 합니다

사용자가 지급하는 금품이

근로의 대상이 아닌 의례적·호의적 의미에서 지급되는 것이거나

근로자가 특수한 근로 조건이나 환경에서 직무를 수행하게 됨으로 말미암아 추가로 소요되는 비용을 변상하기 위하여 지급되는 이른바 실비변상적 급여는 근로의 대상으로 지급되는 것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임금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2. 근로의 대가를 부정한 사례 / 근로의 대가로 본 사례

 근로의 대가를 부정한 사례(임금이 아닌 것) 근로의 대가로 본 사례(임금에 해당하는 것)
사용자가 선택적 복지제도를 시행하면서 (직원 전용 온라인 쇼핑사이트에서 물품을 구매하는 방식 등) 사용할 수 있는 복지포인트를 단체협약, 취업규칙 등에 근거해 근로자들에게 계속적·정기적으로 배정한 경우라고 하더라도, 
이러한 복지포인트는 근로기준법에서 말하는
임금에 해당하지 않음
가족수당이 일정한 요건에 해당하는 근로자에게 일률적으로 지급되어 왔다면, 임의적, 은혜적인 급여가 아니라 근로에 대한 대가의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서 임금에 해당
사용자가 재직운전자 전원을 운전자 공제회에 가입시키고
대납한 운전자 공제회 공제료는, 운전자들의 복리 후생을 위하여 은혜적으로 지급하거나 실비 변상적 명목으로 지출한 것이어서
소정근로의 대가로 볼 수 없으므로 임금에 해당하지 않음
차량 보유를 조건으로 지급되었거나 직원들 개인 소유의 차량을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보조하기 위해 지급된 것이라면 실비변상적인 것으로서 근로의 대상으로 지급된 것으로 볼 수 없으나 전 직원에 대하여 또는 일정한 직급을 기준으로 일률적으로 지급되었다면 근로의 대상으로 지급된 것으로 볼 수 있음
대학교수의 연구수당 및 학생지도수당이 어떤 실적에 따른 실비변상의 것이 아니고  위 대학교원에게 일반적으로 일정액을 정기적 계속적으로 지급한 것이었다면 근로의 대가인 급여로 봄이 상당합니다
 노사협의에 따라 실제 경비로 사용되는지 불문하고 근로를 제공한 운전직 근로자 모두에게 소요되는 경비 명목으로 지급한 경우 일비가 운전직 근로자의 근로제공과 관련하여 근로의 대상으로 지급된 것으로 봄이 타당
 당일 출근하는 운전직 근로자들은 일률적으로 일비를 지급받았고 근무일수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지기는 하지만 근무일에 소정근로를 제공하기만 하면 일비를 지급받는 것이 확정되어 있었으므로, 일비는 소정근로의 대가로 정기적, 일률적, 고정적으로 지급한 임금에 해당

 

 

3. 임금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사례(판례) 정리

1상여금

상여금이 계속적·정기적으로 지급되고 그 지급액이 확정되어 있다면 이는 근로의 대가로 지급되는 임금의 성질을 가지나, 지급사유의 발생이 불확정이고 일시적으로 지급되는 것은 임금이라고 볼 수 없으며, 또한 그 상여금이 퇴직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평균임금에 산입될 수 있는지의 여부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퇴직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대법원 2006. 5. 26. 선고 200354322 판결).

 

2성과급

공공기관 경영평가성과급이 계속적·정기적으로 지급되고 지급대상, 지급조건 등이 확정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지급의무가 있다면, 이는 근로의 대가로 지급되는 임금의 성질을 가지므로 평균임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임금에 포함됩니다

(대법원 2018. 12. 13. 선고 2018231536 판결).

회사가 근로자들에게 지급한 성과금은 경영실적이나 무쟁의 달성 여부에 따라 그 지급 여부나 지급 금액이 달라지는 경영성과의 일부 분배로 볼 수 있을 뿐, 근로의 대상으로서의 임금이라 할 수 없으므로,

퇴직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평균임금에 포함되지 않습니다(대법원 2006. 2. 23 선고 00554029 판결)

 

3 해외파견근로자 특별수당

국외 주재직원으로 근무하는 동안 지급받은 급여 가운데 동등한 직급호봉의 국내직원에게 지급되는 급여를 초과하는 부분은 근로의 대상으로 지급받는 것이 아니라 실비변상적인 것이거나 해외근무라는 특수한 근무조건에 따라 국외 주재직원으로 근무하는 동안 임시로 지급받은 것으로 임금에서 제외됩니다

(대법원 1990. 11. 9. 선고 90다카4683 판결).

 


더 많은 내용과 정보가 궁금하다면 

아래 < 임금에 대해 궁금한 점! 시원하게 풀어 줍니다! >를 클릭하세요.

'법률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법 수사 실무 총서에 대하여  (1) 2024.06.19
요건사실의 의의  (0) 2024.06.07
전세사기 피해예방에 대해  (1) 2024.05.23
보금자리론이란?  (0) 2024.05.21
청구이의 제3자이의 강제집행정지  (0) 2024.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