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문법을 배워도 영어해석에 어려움을 겪는 분
들이 계실 것입니다. 이런 분들은 영어독해에 자신
감이 없고, 모르는 어휘가 나오면 해석에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 그러나 영어단어를 모를지라도, 영어
사전을 찾아보지 않더라도 쉽게 영어해석을 하는 방
법은 존재합니다. 오늘은 그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로는 문장의 확장을 이해하는 방법입니다.
영어는 80가지 유형의 단문으로 구성되는데,글
을 쓰는 사람들은 여기에 내용을 추가적으로 넣고
싶을 때, 넣고 싶은 것이 명사라면 "전치사(preposi
tion)"를 이용하고 동사라면 "준동사(verbals)"를
이용합니다. 그리고 문장이라면 "접속사(conjuction)"
를 이용합니다. 이것을 역으로 진행하면 문장이
복잡하고 길어질 때 이 내용을 빼면 됩니다.
아래 문장을 살펴보며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He went to work in spite of feeling sick.
이 문장에서 주된 내용은, "그가 일하러 갔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작가는 부연적으로 "그가 몸이
아픈데도 불구하고"를 붙였습니다. 즉 이 내용은
부가적인 내용이므로, 없어도 주된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The girl in the picture on the next page looks like
a doll.
여기서도 주된 내용은 "그 소녀가 인형처럼 보인
다."는 것이므로, 소녀를 꾸며주는 "in~page"의 내
용은 빼어도 상관이 없다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단어를 묶어 읽는 방법입니다.
방대한 영어자료를 빠르게 읽기 위해서는 속독
(fast reading)이 필수적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는 문장 속에 있는 많은 단어들을 한 단어씩 한
단어씩 읽어내려 가는 것보다 의미적으로 또는 문
법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들을 하나로
묶어서 읽는 것이 좋습니다.
단어들을 묶는 방법은 "전치사와 접속사"를
이용해서 구와 절을 이해한 후에서야 동시에
"끊어읽기의 방법"이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단어들을 전치사가 연결시켜 "구"를 만들고,
단어와 구를 가지고 만들어진 문장을 접속사가
연결시켜 "절"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문장 속에서 큰 덩어리를 형성한 "구"와"절"을
하나로 묶어 끊어 읽기를 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 아래 문장을 보겠습니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steps ever taken
by primitive man in his unconscious efforts
to escape from barbarism was the discovery
of the wheel.
문장이 상당히 깁니다. 그러나 해석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없습니다. 여기서 먼저 주어와 동사를
찾고, 그 속에 있는 구와 절을 묶여 분류시키면
됩니다. "taken~barbarism"은 주어를 꾸며주는
형용사구이므로 묶어주고 의미가 분명히 드러
나는 주어와 동사를 해석해주면 해석은 쉽습니다.
이외에도 쉽게 영어해석을 하는 방법은 다양합
니다. 일상생활의 필수이지만, 어렵게만 느껴지는
영어!. 알고 보면 모르는 단어가 있어도 쉽게
영어해석을 할 수가 있습니다. 더 자세한 영어
해석 쉽게 하는 방법을 알고 싶으시면 아래 책
을 클릭해주세요^^
↓↓↓↓↓↓↓↓↓↓↓↓↓↓↓ 아래 클릭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섯(균류)은 자연에서 무슨 역할을 하는 것일까요? (버섯,독버섯,자연순환,균류,곰팡이,버섯종류) (0) | 2020.05.04 |
---|---|
목민심서에는 무슨 내용이 담겨져 있을까? (목민심서 내용,목민심서,다산,정약용,정조,목민관,목민,관리,조선시대,부정,부패) (0) | 2020.04.29 |
장기 대국에서 쉽게 이기는 전략, 이기는 방법, 장기 묘수 비법 (장기,바둑,대국,체스,장기판) (0) | 2020.04.06 |
유방이 항우를 이길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초한지,삼국지,수호지,수호전,유방,항우,장량,한신,소하,역발산,진시황) (0) | 2020.04.03 |
1권으로 읽는 수호지! 하루만에 수호지 읽어보자 (수호지,수호전,삼국지,삼국지연의,초한지,금병매,송강,양산박) (0) | 2020.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