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묵의 가장 큰 특징은 태양광선에
의한 명암을 그리지 않는다는 점
입니다. 물체의 양감을 나타내는
수단으로서 흑에 대한 농염의 변화
는 주지만, 의식된 태양광선에 의한
음양은 묘사하지 않습니다.
이 점은 서양화에 있어서의
근대 회화가 태양광선에 의한
불확실한 자연의 일무를 추구함
을 지양하고,자연의 불변하는 모
습을 묘사코자 하는 것으로,그림
자를 그림자로 보지 않고 하나의
색면으로 취급하게 된 것과 상통
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흑에 오채
가 있다."는 말이 있으며 모든
색채의 환원된 모습이 묵일색
이라고도 말하고 있습니다. 말
하자면 묵일색만 가지고도 그 명
도의 차이로 풍부한 색상을 표현
할 수 있으며 그 이상으로 묵이
지닌 독특한 묵색이 있습니다.
이상과 같이 묵화의 묘사는
초벌 그림도 필요치 않고 단번
에 지면에다 그리기 시작하므
로 세부적 묘사는 별로 신경쓰
지 않지만,반면 우연성이 뒤따르
게 됩니다. 따라서 보는 사람으
로 하여금 암시성을 주는 이점
도 있습니다.
아래는 수묵화의 예화입니다.
오늘은 수묵화의 개념과 예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더 자세한
수묵화에 관한 자료를 보고 싶으
시면 아래 책을 클릭해주세요~
↓↓↓↓↓↓↓↓↓아래 클릭 ↓↓↓↓↓↓↓↓↓
'서예,한문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성 왕희지의 '난정서'에 대해 알아봅시다.(왕희지,서성,난정서,해서,예서,서예,서체,캘리그라피) (0) | 2020.05.27 |
---|---|
서보(書譜)체에 대해 알아봅시다(서보,서보체,서예,서체,캘리그라피,초서,해서) (0) | 2020.05.26 |
조전비 서체에 대해 알고 싶으신 분은 필독(조전비,예서,전서,해서,서체,서예,조전,캘리그라피) (0) | 2020.05.25 |
사군자 그리는 방법. 매,난,국,죽 그리는 방법(사군자,매화,난초,국화,대나무,서예,한국화) (0) | 2020.05.22 |
고급 한글서예를 배워봅시다.(한글,서예,한문,한자,캘리그라피) (0) | 2020.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