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상식

공직선거법 : 언론기관의 공정보도의무

법문북스 2021. 12. 21. 10:56

헌법상 모든 국민은 국가권력의 간섭이나 통제를 받지 아니하고

자유롭게 정치적 의사를 형성·발표할 수 있는 정치적 자유권을 가지고,

선거운동의 자유는 정치적 자유권의 주된 내용의 하나로서

널리 선거과정에서 의사를 표현할 자유의 일환이므로 표현의 자유의 한 태양이기도 하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과 활발한 토론이 보장되지 않고서는 민주주의가 존재할 수 없으므로 표현의 자유,

특히 공적·정치적 관심사에 대한 정치적 표현의 자유는 중요한 헌법상 권리로서 최대한 보장되어야 한다.

 

 

 

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대한민국헌법」과 「지방자치법」에 의한 선거가 국민의 자유로운 의사와 민주적인 절차에 의하여 공정히 행하여지도록 하고, 선거와 관련한 부정을 방지함으로써 민주정치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2005. 8. 4.>

 

제2조(적용범위) 이 법은 대통령선거ㆍ국회의원선거ㆍ지방의회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선거에 적용한다.

 

제 8조 언론기관의 공정보도의무

 

제8조(언론기관의 공정보도의무) 방송·신문·통신·잡지 기타의 간행물을 경영·관리하거나 편집ㆍ취재ㆍ집필ㆍ보도하는 자와 제8조의5(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제1항의 규정에 따른 인터넷언론사가 정당의 정강ㆍ정책이나 후보자(후보자가 되고자 하는 자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의 정견 기타사항에 관하여 보도ㆍ논평을 하는 경우와 정당의 대표자나 후보자 또는 그의 대리인을 참여하게 하여 대담을 하거나 토론을 행하고 이를 방송ㆍ보도하는 경우에는 공정하게 하여야 한다. <개정 1997.11.14., 2005. 8. 4.>

 

[참고법령]

 

(1) 방송법[시행 2018. 9. 14.] [법률 제15468, 2018. 3. 13., 일부개정]

6(방송의 공정성과 공익성) 방송에 의한 보도는 공정하고 객관적이어야 한다.

방송은 정부 또는 특정 집단의 정책등을 공표함에 있어 의견이 다른 집단에게 균등한 기회가 제공되도록 노력하여야 하고, 또한 각 정치적 이해 당사자에 관한 방송프로그램을 편성함에 있어서도 균형성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2) 선거방송심의에 관한 특별규정조의2(선거방송심의위원회) 참조

 

(3) 방송광고심의에 관한 규정[시행 2019. 9. 27.] [방송통신심의위원회규칙 제142, 2019. 9. 27., 일부개정]

42(정치) 방송광고는 정당의 행사안내, 행사고지, 정책홍보, 당원모집 공고 등 정치활동에 관한 내용을 다루어서는 아니된다. 다만, 법령 또는 선거관리위원회의 결정사항에 따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 8조 언론기관의 공정보도의무

 

제8조의2(선거방송심의위원회)
① 「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18조제1항에 따른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이하 “방송통신심의위원회”라 한다)는 선거방송의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기간 동안 선거방송심의위원회를 설치ㆍ운영하여야 한다. <개정 2010. 1. 25., 2012. 1. 17.> .... 중략

1. 임기만료에 의한 선거제60조의21항에 따른 예비후보자등록신청개시일 전일부터 선거일 후 30일까지

 

2. 보궐선거등

선거일 전 60(선거일 전 60일 후에 실시사유가 확정된 보궐선 거등의 경우에는

그 선거의 실시사유가 확정된 후 10)부터 선거 일 후 30일까지

 

제8조의6(인터넷언론사의 정정보도 등)
①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는 인터넷언론사의 인터넷홈페이지에 게재된 선거보도의 공정 여부를 조사하여야 하며, 조사결과 선거보도의 내용이 공정하지 아니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당해 인터넷언론사에 대하여 해당 선거보도의 내용에 관한 정정보도문의 게재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하여야 한다. <신설 2005. 8. 4.>
.....중략
④인터넷언론사의 왜곡된 선거보도로 인하여 피해를 받은 정당 또는 후보자는 그 보도의 공표가 있음을 안 날부터 10일 이내에 서면으로 당해 인터넷언론사에 반론보도의 방송 또는 반론보도문의 게재(이하 이 조에서“반론보도”라 한다)를 청구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보도의 공표가 있은 날부터 30일이 경과한 때에는 반론보도를 청구할 수 없다.

 


 

 

더 자세한 공직선거법을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당선을 위한 공직선거법 살펴보기>를 클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