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호지는 중국사대기서 중 하나로 인정받는 중국의 고전소설
입니다. 원저자는 원나라 말 시내암이라는 사람입니다. 삼국지연의
작가인 나관중이 손질하여 만들어졌다는 설이 대세지만, 시내암이
실존인물이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습니다. 국내에서는 흔히 삼국지,
초한지 등과 묶으려고 그랬는지 수호지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 소설의 원 제목은 수호전입니다.
수호지(=수호전)은 중국의 민중이 사랑하고 키워 온 대중 문학
의 자랑입니다. 황하나 양자강이 광활한 대륙을 유구히 굽이쳐
흐르는 동안 수많은 지류를 품 안에 모으듯이 남송 이래로
이름없이 사라진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진 여러 이야기가 민중
들의 가슴 속에 깊이 간직되고 키워지다가 수호지라는 형식
의 찬란한 꽃을 피운 것입니다.
수호지에는 탄압받는 민중의 절망적인 한숨과 좌절이 있고
부패와 부정에 항거하는 열화같은 분노와 반항이 있습
니다. 썩어빠진 조정에 분연히 반기를 들고 탐관오리를
통괘하게 응징하는 영웅호걸들의 활약은 민중들의 가슴
을 고동치게 하고, 그들의 울분을 달래 주기에 충분한 것이
었습니다.
어찌보면 영웅담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것 같지만, 그 본질에
흐르고 있는 것은 어디까지나 힘없고 가련한 민중의 애환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수호지'입니다. 그래서 청나라
대에 이르러 통치자들의 눈엣가시가 되어 금지되는 수난을
당하기도 했습니다. 이 책의 줄거리는 송나라 휘종 때 송강의
무리 36인이 산동에서 반란을 일으켰다가 항복한 역사적 사실
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36인의 인물전이 덧붙여지고, 다시 72인의 호걸
들이 추가되면서 명나라 초기에 대략 오늘날 우리들이 보는
수호지의 모습이 갖추어졌습니다. 오랜 세월에 걸친 수많은
민중들의 설화와 이야기들을 간추리고 모아 수호지의 체계를
세운 사람은 시내암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정설입니다. 더러는
시내암이 엮은 것을 나관중이 손질을 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29년 영창서관에서 처음으로 번역판을 출간
하여 이른바 낙양의 지가를 올릴 정도로 많이 읽혔으나, 너무
직역체여서 일반 독자가 읽기에는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1권으로 읽을 수 있는 수호지(수호전)가 많이 나와 대중
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젊어서는 수호지를 읽지 말고 나이 들어서는 삼국지를 읽지
말라는 말이 있습니다. 원래는 "젊어서는 삼국지를 읽고,나이 들
어서는 수호지를 읽으라"는 말이 와전된 것입니다. 수호전은 정의
감을 불러일으키기에 적합하니 젊은 자체가 발산하는 혈기를
주체하지 못하는 젊은이들은 굳이 읽지 않아도 된다는 뜻입니다.
삼국지는 경험이 부족한 젊은이들에게 필요한 인생의 지혜가 담겨
있으니 이미 삶의 연륜이 쌓인 사람들에게는 불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오늘은 중국 4대 기서 중 하나인 수호지(수호전)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수호지는 게임,만화,소설,영화,드라마 등 다방면
에서 접할 수 있는 유명한 고전소설입니다. 따라서 휴일 하루 날을
잡아 1권으로 요약된 수호지를 읽어 교양을 쌓는 것은 어떨까요?
더 자세한 1권으로 읽는 수호지에 대한 내용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
해주세요^^
↓↓↓↓↓↓↓↓↓↓↓↓↓ 아래 클릭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 대국에서 쉽게 이기는 전략, 이기는 방법, 장기 묘수 비법 (장기,바둑,대국,체스,장기판) (0) | 2020.04.06 |
---|---|
유방이 항우를 이길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초한지,삼국지,수호지,수호전,유방,항우,장량,한신,소하,역발산,진시황) (0) | 2020.04.03 |
1권으로 된 큰글 삼국지로 하루만에 삼국지 읽어보자! (삼국지,초한지,수호지,나관중,유비,관우,장비,여포,조조,이문열) (0) | 2020.04.01 |
죽음의 사신, 중풍의 예방과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중풍,소풍,뇌졸중,혈관,전조증,식이요법,나홀로,고혈압,당뇨) (0) | 2020.03.27 |
당뇨병 식이요법 이것만은 알아둡시다! (당뇨병,당뇨,인슐린,합병증,식이요법) (0) | 2020.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