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 리 말
2021. 1. 1. 개정 형사소송법(법률 제16927호)이 시행되었다.
개정형사소송법은 경찰이 검사의 지휘를 받았던 수사기관에서
경찰이 독자적으로 수사하고, 결정하는 중추 국가수사기관으로서
위치가 공고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수사학개론은 경찰수사 법령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경찰수사 전반을 쉽게 이해하고 국민의 기본적 인권보장에
좀 더 충실할 필요성이 있다는 전제로 집필되었다.
이 책이 학문적 열정이 있고, 창의적인 경찰관들의
연구에 참고가 되리라고 생각하며, 장래 경찰관 또는 경찰수사 절차가
궁금한 모든 사람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차 례
제 1장 총론
제 2장 수사의 개시
제 3장 강제수사
제 4장 임의수사
제 5장 수사지휘
수 사 의 의 의 ( 개 념 )
수사라 함은 범죄의 혐의가 있다고 사료하는 때에는
공소제기 여부를 결정하거나 공소를 제기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한 준비로서
범죄사실을 조사하고 범인 및 증거를 발견·수집·보전하는 수사기관의
활동을 말한다. 수사절차는 수사활동이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이다.
수사기관은 범죄의 혐의가 있다고 사료하는 때에는
범인, 범죄사실과 증거를 수사한다(형사소송법 제196조, 제197조).
경찰 수사 전반 및 법령 등의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 경찰 수사학개론 > 을 클릭하세요.
'법률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소사건에 대한 불송치결정 이의신청을 알고싶다면 (1) | 2024.09.24 |
---|---|
공소장 공소사실 의견서 작성하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1) | 2024.09.13 |
실업급여,구직급여 받는 방법 (6) | 2024.08.29 |
법조문에 따른 민사소송에 대하여 (0) | 2024.08.21 |
주석 신탁법에 관한 법률 (0) | 2024.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