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피고가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 대응해야겠다고 마음을 먹고 답변서를 작성해
보려고 해도 어떤 식으로 주장해야 하고 어떤 식으로 항변을 하고 어떻게 작성해야
할지 몰라 망설여지는 것이 현실입니다. 답변서는 피고가 법원으로부터 소장 부본을
송달받고 처음으로 법원에 내는 아주 중요한 소송서류입니다.
언제 있을지도 모르는 민사소송에 대비하여 있었던 일 그 사실관계 정도는 스스로
밝힐 수 있어야 하는데 관심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보니 일이 생기고 나서야 답변서
를 작성하려고 분주하게 서둘다 보면 실수 할 수도 있는 일입니다. 피고에게는 답변서
를 통하여 법원에 원고의 청구에 대한 부당함을 알리는 힘이 얼마나 큰지 소송결과에서
판결이 분명히 말해줍니다. 답변서는 이왕이면 원고의 기분을 잘 헤아려 답변서를
작성하도록 하고, 그렇게 되면 답변서를 읽는 원고도 기분이 좋고 판결을 하는
재판장도 좋고 나도 기분이 좋고 결과도 좋습니다.
본 도서에는 피고가 답변서에서 원고의 청구에 대한 부당함을 파헤치는 항변이유를
어떤 형태로 써야하는지 주로 그 기재방식을 다루었고, 나머지는 피고가 답변서를 통하여
재판장을 설득시키고 사실관계를 솔직하게 진술하고 원고와 부딪치는 부분을 세밀하게
방어하는 방법을 누구나 답변서에 모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면서 특히 혼자서도
답변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고자 실무에 적합하게 다루었습니다. 피고가 제출
하는 답변서가 소송의 승패가 좌우될 만큼 답변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목차
제1장 답변서
제2장 피고의 항변의 종류
제3장 항변의 기재방법
제4장 소멸시효 항변
제5장 채권의 소멸
제6장 변제
제7장 대물변제
제8장 공탁
제9장 상계
제10장 경개
제11장 면제
제12장 혼동
제13장 민사소송 답변서 최신서식
답변서의 의의
답변서는 피고가 원고의 소장에 대하여 그 청구에 대한 배척을 구하는 취지의 반대
신청 또는 그에 대한 이유를 기재한 준비서면의 성격을 갖는 서면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실무에서는 피고가 법원에 제출하는 최초의 준비서면을 답변서라고 합니다.
더 많은 정보가 궁금하다면
아래 <민사소송 답변서 작성방법> 를 클릭하세요.
'법률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려간 돈을 갚지 않을 때 지급명령신청, 사기죄 등 고소 방법 (0) | 2025.01.15 |
---|---|
지급명령에 대한 실무지침서 (3) | 2025.01.02 |
요건사실에 따른 각종 소장 작성에 관한 자세한 사례 정리 (1) | 2024.12.17 |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0) | 2024.12.11 |
상업등기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3) | 202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