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 11

한국의 핵심 속담

속담의 발생과정과 그 의미 속담은 만들어 낸 이가 누구이며 언제 만들어졌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그 뿌리를 찾아들어가다 보면 처음에 누군가가 만들어낸 말이 점차 여러 사람들의 공감을 얻으며 그 사용이 확대되고 거기에 사상과 감정, 경험, 철학이 담기면서 속담으로 완성된 것일 터이다. 그리하여 속담에는 민족의 특성과 생활양식, 정신이 짙게 배게 되는 것이다. 특히 속담은 민중 속에서 싹트고 자라왔기 때문에 서민적이면서도 토속적인 성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 한 지금까지 시대의 변천과 맞물리면서 자연과 인간사의 희로애락, 생활 환경 등의 다양한 경험들이 쌓여 점점 그 수가 늘어왔으며, 앞으로도 또한 늘어나게 될 것이다. 물론 속담은 세월이 흐르고 사회가 변화되어 생활양식이 바뀌게 됨에 따라 그 말의 개념도..

기타 2023.10.24

속담에 이런 뜻이? 속담풀이

속담에는 그 민족의 특성이나 정신, 생활양식 등이 반영되어 있어 한 민족의 역사나 종교, 풍속, 사회구조 등의 일면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속 담 풀 이 (1) 가르친 사위 제 일을 혼자 처리할 줄 모르는 못난 사람을 조롱할 때 쓰는 말 (2) 가을 바람의 새털 가벼운 새털이 가을 바람에 힘없이 휘날린다는 뜻으로, 꿋꿋하지 못한 것을 가리키는 말 (3) 내 말은 남이 하고 남 말은 내가 한다 누구나 사람은 제 잘못을 젖혀 놓고 남의 말하기를 좋아 한다는 뜻 (4) 눈 먼 고양이 갈밭 매듯 분수없이 시끄럽게 떠들고 돌아다니는 상태를 이르는 말 (5) 반드럽기는 삼년 묵은 박달나무 방망이 남의 말을 잘 안 듣는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 (6) 발보다 발바닥이 더 크다 모든 일이 이치에 어긋났다는 뜻 (7) ..

기타 2022.10.26

선조들의 해학과 육담으로 스트레스 해소할 수 있는 고금소총

『고금소총古今笑叢』은 민간에 전해져 내려오는 소화笑話를 모아 놓은 책으로 한국 토속문화의 백미이다. 『고금소총』의 편자編者는 알수 없다. 그리고 편찬 연대는 대략 조선 시대 후기인 18세기∼19세기로 추정되고 있다. 고금소총古今笑叢 육담이란? 태평한화골계전, 어면순, 속어면순, 촌담해이, 명엽지계, 파수록, 어수신화, 진담록, 성수패설, 기문, 교수잡사 등 11종류의 소화집이 한데 묶여 있다. 그 안에는 총 789편의 이야기가 실려 있는데 이 중 약 3분의 1 가량이 육담에 해당한다. 어면순. 속어면순, 촌담해이, 기문 등은 거의 육담으로 채워져 있고, 어수신화, 진담록, 성수패설, 교수잡사에서는 육담이 전체의 3분의 1 내지 2 정도를 차지한다. 반면 태평한화골계전, 파수록, 명엽지해에는 육담이 거의 ..

기타 2022.05.26

한국의 속담

거미는 작아도 줄만 친다 생김새는 작더라도 저 할 일은 다 한다 거미도 줄을 쳐야 벌레를 잡는다 거미도 줄을 치지 않고는 벌레를 잡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모든 일이 준비가 없이는 그 결과를 얻을 수 없다 거미알 끼듯 한다 좁은 곳에 많은 수가 한 데 모였을 때 쓰는 말 거미알 슬 듯 거미가 알을 여기저기 많이 슬어 놓듯이 동식물의 종자를 간 데마다 번식시키는 것을 가리키는 말 거미줄 따르듯 한다 서로 뗄 수 없는 깊은 관계가 있어 늘 따라다닐 때 쓰는 말 나무도 쓸 만한 것이 먼저 베인다 좀 잘난 사람이 일찍 죽을 때와 같은 경우에 쓰인 말 나무에도 못 대고 돌에도 못 댄다 아무 데도 의지할 곳이 없는 신세라는 뜻 나무에 오르라 하고 흔드는 격 남을 불행의 구렁텅이로 끌어넣는다는 뜻 나무에 올라 고..

카테고리 없음 2021.08.25

속담의 발생과정과 그 의미 / 동물과 관련된 속담의 내용 알아보기

우리가 흔히 쓰고 있는 속담은 우리 조상으로부터 이어 받은 지적유산이며, 도덕적 유산이다. 이것은 시대가 변천하면서 자연이나 인간사에서 보고 느낌으로써 얻은 희로애락의 여러 감정과 경험에 쌓여 점점 그 수가 늘어난다. 물론 세월이 흐름에 따라 말의 개념도 다소 바뀌고 속담의 뜻도 달라지는 것도 있다. 그러나 속담은 발생, 변천하면서 민족 역사와 더불어 영원히 존속해 나가고 있다. 속담의 발생과정과 그 의미 속담은 만들어 낸 이가 누구이며 언제 만들어졌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그 뿌리를 찾아들어가다 보면 처음에 누군가가 만들어낸 말이 점차 여러 사람들의 공감을 얻으며 그 사용이 확대되고 거기에 사상과 감정, 경험, 철학이 담기면서 속담으로 완성된 것일 터이다. 그리하여 속담에는 민족의 특성과 생활양식, ..

기타 2021.03.18

한국의 핵심 속담에 대해 알아 봅시다~

속담은 만들어 낸 이가 누구이며 언제 만들어졌는지 알 수 없다. 그러나 그 뿌리를 찾아들어가다 보면 처음에누군가가 만들어낸 말이 점차 여러 사람들의 공감을 얻으며 그 사용이 확대되고 거기에 사상과 감정, 경험, 철학이 담기면서 속담으로 완성된 것일 터이다. 속담에는 그 민족의 특성이나 정신, 생활양식 등이 반영되어 있어 한 민족의 역사나 종교, 풍속, 사회구조 등의 일면을 엿볼수 있게 해 준다. 긴 설명보다 묵직하게 그 의미를 전달해 주는 한마디 힘 ▶ 가는 세월 오는 백발 세월이 가면 누구나 늙기 마련이라는 뜻. ▶ 가는 날이 장날이다. 뜻밖의 일이 우연히 잘 들어맞는다는 뜻. ▶ 가랑비에 옷 젖을 줄 모른다. 시원찮게 오는 가랑비에 옷이 젖는 줄 모르게 젖는다는 말이니, 조끔씩 조금씩 없어지는 줄 모..

법률상식 2020.10.07

우리 조상들의 설화세계를 알 수 있는 한국의 전설, 해학, 야사, 기담전서를 살펴봅시다. (전설,설화,야사,야담,기담전서)

잘 아시다시피 우리 선조들이 물려준 설화세계는 세계에 자랑 할만한 문화유산입니다. 갖가지 이야기들이 너무나 재미있고,구수한 정을 가지고 있으며, 과거와 현재 와 미래를 꿰뚫는 재치와 지혜가 곳곳에 녹아있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조상들은 놀랍게도 봉건제도 속에서 살았으면서도 여유있는 유머를 잃지 않았고 때로는 윤리와 도덕에 대한 그들 의 사상을 민담을 통해 적나라 하게 나타내기도 했습니다. 옛날 어느 고을에 한 감사가 새로 부임했는데, 위인이 술과 계집만을 좋아하여 항상 질탕한 연회가 벌어지니, 백성들은 점점 가난해지게 되었다. 이 고을의 기생들은 날이면 날마다 몸단장을 곱게 하고 연회에 참석하느라 바빴고 백성들은 그것에 쓸 술과 고기를 대기에 힘이 겨웠다. 감사가 물리지도 않는지 매일 밤마다 새 기생을 무..

기타 2020.08.21

조선시대의 일상과 해학을 알 수 있는 <한국의 해학과 육담>

구전을 바탕으로 하고, 다시 구전되는 이야기인 야담은 문헌설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알려진 인물에 관 한 일화로 시작하였으나 나중엔 하층의 인물을 주인공으로 삼아 길고 복잡한 사건을 전개하는 작품으로 등장한 것 이 야담의 변천사입니다. 그런 것들은 전설과 민담을 복합시키고, 유기적인 구성을 갖추 었습니다. 새로운 환경,신분제의 동요, 화폐경제의 발달,민중기질의 고양 등으로 빚어진 자아와 세계의 대결 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작품들도 있습니다. 야담은 한문을 겨우 아는 사람들 까지 즐겨 읽어 대단한 인기를 누리면서 한글로 번역되기도 했습 니다. 소설처럼 내용이 풍부하고 표현이 다채롭게 되었습니다. 독자층도 남성으로 이루어져 여성독자를 확보하지 못한 것이 흠이었지만 여성이 적극적으로 살아가는 모습을 ..

기타 2020.08.19

조선시대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소화 고금소총> (속담,민담,고금소총)

고금소총이란, 민간에서 전해져 내려 오는 소화(작은 이야기)를 모아놓은 책으로 한국 토속문화의 백미입니다. 고금소총의 편자는 알 수 없습니다. 그리고 편찬 연대는 조선시대 후기 인 18~19세기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고금소총 육담이란, '태평한화골계 전', '어면순', '속어면순', '촌담해이', '명엽지계', '파수록', '어수신화', '진담 록', '성수패널', '기문', '교수잡사' 등 11종류의 소화집이 한데 묶여있습 니다. 그 안에는 총 789편의 이야 기가 실려 있는데 이 중 약 3분의 1 가량이 육담에 해당합니다. 어면순,속어면순,촌담해이,기문 등은 거의 육담으로 채워져있고, 어수신화,진담록,성수패설,교수잡 사에서는 육담이 전체의 3분의1 내지 2정도를 차지합니다. 반면 태평한화골계전,파수록..

기타 2020.08.18

한국의 핵심 속담, 속담의 특징과 활용에 대해 알아봅시다. (속담,민담,전통,문화,인문,언어학,한문학)

속담은 만들어 낸 이가 누구이며 언제 만들어졌는지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그 뿌리를 찾아들어가다 보 면 처음에 누군가가 만들어낸 말이 점차 여러 사람들이 공감을 얻으 며 그 사용이 확대되고 거기에 사상 과 감정,경험,철학이 담기었을 것입 니다. 그리하여 속담에는 민족의 특 성..

기타 2020.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