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상식

현직 경찰에게 꼭 필요한 범죄수사규칙 (경찰,범죄,수사,수사규칙,피의자신문,조서,진술거부,변호사선임)

법문북스 2019. 11. 29. 11:03






범죄수사규칙은 경찰청에서 나온 훈령으로

현직 경찰의 실무에서 항상 적용되는 법입니다.

따라서 처음 공직에 들어선 경찰은 

범죄수사규칙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범죄수사규칙'의 내용 중

피의자신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범죄수사규칙에 따르면,

경찰 수사관은 피의자신문 시 

다음의 몇 가지 내용을 유의해야 합니다.





























1. 진술의 임의성을 확보해야 한다(제56조)


임의성이란, 강제성과 대비되는 말입니다.

즉, 강제성이 없이 자연스럽게 나온 진술

이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왜냐하면 임의성은 진술의 진실성을 판단

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사관은 조사 시 피의자에게

진술의 진실성을 의심받는 방법을 

취해서는 안 됩니다.



























더 구체적으로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사항을 살펴보면,


1) 진술거부권을 고지해야 합니다. 


->이것의 고지없이 받은 자백은 

증명력이 없습니다.


2) 유도질문 금지


->조사관이 희망하는 진술을 유도하거나

어떤 이익을 제공할 것을 약속하거나 등
































3) 조사환경 등의 배려


->피의자의 심리적 압박 등 임의성을

의심받지 않는 조사환경을 확보해야 합니다.


4) 진술상황 등의 기록


->진술의 임의성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자료를 문서화해야 합니다.

ex) 자백하기에 이른 동기, 이유와 진술 후의

심경 등

























2. 변호인을 선임할 수 있음을 통지(제58조)


사법경찰관은 변호인을 선임할 수

있음을 알려야 합니다.


구속된 피의자는 변호인의 선임을

의뢰할 수 있고, 의뢰를 받은 경찰관은

피의자가 지명한 변호사에게 그 취지를

통지하여야 합니다.























실무상 경찰관이 유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특정변호인 추천 금지


->수사경찰이 특정의 변호인을 시사하거나

추천하여 공정성에 의심받아서는 안 됩니다.


2) 변호인 참여 제한


->신문방해, 수사기밀 누설 등 수사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경우 변호인 참여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필요한 경우 신뢰관계자 동석(제61조)


형사소송법에 따르면 피의자의 연령, 심신의 상태,

그 밖의 사정을 고려하여서 필요한 경우에는

신뢰관계자를 동석하게 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단, 신뢰관계자가 별도의 의견을 진술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피의자의 진술의 임의성을

위한 것일 뿐입니다.


만약 신문방해 등 수사에 지장이 있다면,

신문 전 또는 신문 중이라고 제한할 수

있습니다.


























<피의자신문조서>






<피의자신문조서-2>




























오늘은 '범죄수사규칙'의 내용 중

피의자신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경찰관에게 범죄수사규칙은 수사에 있어

바이블(Bible)과 마찬가지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신 분은

아래 책을 참고해주세요^.^

(클릭시 링크로 연결됩니다)
















 ▼ ▼ ▼ ▼ ▼ ▼ ▼ ▼ ▼ ▼  클릭 ▼ ▼ ▼ ▼ ▼ ▼ ▼ ▼ ▼ ▼ ▼